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뒤로

평당 2500원 > 살며 생각하며

평당 2500원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07-04-25 18:34:38
조회수
2,342

글제목 : 평당 2500원
글쓴이 운영자
E-mail
등록일자 2006-11-25
조회수 133

올 봄
해남의 금쇄동을 보고온 후 잠을 못이루었다
몇날며칠 그 골짜기가 눈에 선하고 꿀벌을 기르며 3만평의 산을 가꾸는 그 봉우님이 너무 부러워....
서서히 잊혀져 가는 올 가을
산내면의 어느곳이 또 나의 눈에 띄어 잠을 못이루게한다

1. 산과 골이 깊은 곳
2. 입구가 하나인 곳
3. 교통이 안좋은 곳
4. 흐르는 물을 접한 곳
5. 밀원이 좋은 곳
6. 지대가 높은 곳

그동안 홀딱 반한 몇곳의 지세를 되짚어보니 내가 좋아한 곳은 대체로 위의 조건을
갖춘곳이었는데 정읍의 고원인 산내면의 골짜기도 딱 맞는것이다
쇠뿔도 단김에 빼랫다
모조리 팔아서 이주 할 각오하고 알아보았으나..........
늦었다
입구에서 끝까지 가는 골
중간에 산자락을 끼고 갈라지는 좌우의 또다른 작은 골짜기들

한곳은 나보다 더 산을 좋아하는 정읍사람이 79년에 들어와 1만평 차지하고
또 한곳은 전주사람이 2만평 차지하고
물건너 깊은 골 역시 정읍의 누가 차지하고...
이곳은 흐르는 물을 막아 풀장까지 만들어놓았는데 도무지이해가 안간다
이렇게 깊은곳에 들어와 살 생각을 하는 사람이 어떻게 나말고 또 있느냐고!!!

6만평짜리가 나와있다고 하나 능력밖이고
1만평짜리는 평당 2500원
농협빚을 얻으면 가능하겠으나 악산인데다 물을 접하고 있지않다
마을이장은 장뇌삼을 심어 15년 후에 수확하면 떼돈을 벌수 있다 한다
장뇌삼? 떼돈?
난 그런거 몰라유~~

그래도 난 3만평은 있어야 하는데
원하는 나무를 심고 가꾸며 닭을 풀어놓아 유정란을 얻어야 하는데
한평에 수천만원 한다는 아파트 서너채씩 가졌다는 부자들은 부럽지않은데
금쇄동의 봉우님과 산내면 골짜기 그들은 너무너무 부러워......


button_list.gif button_delete.gif button_modify.gif button_reply.gif
운영자

2006-11-25
|
금쇄동.....
재미있는 내용이 있어서 퍼왔습니다
=====================

전남 해남 금쇄동에 있는 고산 윤선도 묘.
“참의 윤선도는 호가 고산인데 세상에서 오늘날의 무학(無學)이라고 부른다. 풍수지리 학문에 관해 본래 신안(神眼)의 실력을 갖추었다.”



고산 윤선도에 대해 풍수의 최고 단계인 ‘신안’이라고 극찬한 사람은 당대 최고의 풍수학자이기도 한 정조 임금(주간동아 353호와 448호에 소개됨)이었다.



문학가로 더 잘 알려진 고산 윤선도(1587~1671)는 풍수학사에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이다. 명당으로 알려진 그의 고가(전남 해남 녹우당)와 무덤엔 지금도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풍수지리에 정통한 고산은 효종이 승하하자 좌의정 심지원의 추천으로 왕릉 선정에 참여한다. 그는 여러 곳을 답사하고 난 뒤 수원 땅을 최고의 길지로 추천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송시열, 송준길 등이 반대했기 때문. 훗날 정조는 고산이 추천한 곳의 진가를 알아보고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이곳으로 이장하는데 그곳이 바로 수원 옆 화성의 융릉(隆陵)이다.



정조가 ‘신안’으로 인정한 고산의 풍수학맥은 이의신(李懿信, 윤선도와 인척관계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하지 않다)과의 만남을 통해서 형성됐다. 이의신은 해남 맹진 출신으로 1600년 선조 임금 어부인 의인왕후 박씨가 세상을 떴을 때 왕릉 선정에 참여하면서 선조에게서 능력을 인정받았으며, 광해군 때는 경기도 파주 교하로 도읍지를 옮기자는 ‘교하 천도론’을 주장해 몇 년 동안 조정을 발칵 뒤집어놓은 장본인이다.



이러한 이의신와 고산 사이의 ‘명당 빼앗기’ 전설은 이 고장뿐만 아니라 풍수가들 사이에서 두고두고 회자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의신이 고산의 집에서 기거하고 있을 때, 밤중이면 몰래 말을 타고 집을 빠져나가 새벽녘이면 슬그머니 돌아오곤 했다. 고산은 이의신이 명당을 찾았음을 짐작하고 어느 날 그에게 술을 많이 마시게 해 일찍 잠에 빠지게 했다. 잠이 든 것을 확인한 고산은 평소 이의신이 타던 말을 앞세우고 집을 나섰다. 말은 밤중이면 언제나 가곤 하던 그 길을 따라 한참을 가다 어느 지점에 멈추었다. 자리를 살펴보니 과연 천하의 명당이었다. 고산은 주변에서 썩은 나무막대 하나를 찾아 그 자리에 묻고 집으로 돌아왔다. 이튿날 고산은 이의신에게 자신이 잡아놓은 자리가 하나 있으니 한번 봐달라고 했다. 이의신이 따라가본 곳은 다름 아닌 자신이 잡아놓은 자리였다. 이의신이 ‘명당에는 임자가 따로 있다’면서 고산에게 양보하였다.”



전설은 상당 부분 사실인 듯하다. 우선 “녹우당에서 고산 무덤이 있는 금쇄동까지 걸어서 1시간 반 거리도 되지 않기 때문에 어린 시절 걸어서 많이 참배를 하였다”는 고산의 종손 윤형식(녹우당 거주) 선생의 말씀과 전해지는 이야기에 나오는 거리가 비슷하다.



그러나 전설처럼 고산이 이의신의 자리를 빼앗았다기보다는 나이가 훨씬 많은 이의신에게 풍수를 배우는 과정에서 좋은 자리를 추천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로 서얼 출신인 이의신이 금쇄동(고산 묘역 일대)을 사들일 능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금쇄동의 면적은 120여만평으로서 지금까지 종가 소유로 전해온다.




고산이 사용한 나침반(패철).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임진왜란 직후 조선 풍수의 주류는 ‘이의신→윤선도→정조’로 이어짐이 확실하다. 또 이들 풍수의 특징이 모두 한 가지라는 점이다. 풍수지리의 유파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땅의 형세를 육안으로 살펴서 길흉화복을 말하는 ‘형세론(形勢論)’이고, 다른 하나는 나침반(패철)으로 길흉화복을 보는 ‘이기론’이다.




바로 이의신이 형세론을 견지했음을 조선왕조실록에서 밝히고 있다. 고산도 철저하게 형세론자였음을 자신이 쓴 ‘산릉의’(1659년)에서 보여준다. 정조 역시 형세론이 중심이 되어야 함을 ‘홍재전서’에서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정황으로 보아 조선 후기는 형세론이 주류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고, 현재 해남 금쇄동에 있는 고산의 무덤은 조선 후기 풍수의 특징을 보여주는 곳이라 할 수 있다.
|

본문

다음글 우물안 개구리 07.04.25
이전글 내땅 돌려주~ 07.04.25

댓글목록

댓글쓰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